명사 제2변화¶
제2변화 명사는 -us 또는 -er로 끝나는 남성 명사와 -um으로 끝나는 중성 명사이다.
m. sg. | m. pl. | |
---|---|---|
nom. | -us/-ius/-er | -ī |
gen. | -ī | -ōrum |
dat. | -ō | -īs |
acc. | -um | -ōs |
abl. | -ō | -īs |
voc. | -e/-ī/-er | 주격과 같음 |
loc. | -ī | -īs |
변화 형태는 한 가지이나, 남성 명사의 주격 단수가 -us인 경우 호격 단수 어미는 -e이고, -ius인 경우 -ī인 것만 다르다. 호격이 주격과 같다는 일반 원칙의 예외로, -us로 끝나는 여성 명사나 중성 명사에서는 호격이 주격과 같다.
주의
-us와 -ius로 끝나는 제2변화 남성 명사는 주격과 호격이 동일하다는 일반 원칙의 예외이다.
주석
남성 명사 변화를 1식, 중성 명사 변화를 2식으로 분류하기도 하며, -us를 1식, -er을 2식, -um을 3식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주석
제1변화가 여성 명사의 변화였다면, 제2변화는 남성 명사와 중성 명사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이 둘을 합쳐 형용사 제1·2변화에서 그대로 사용된다.
명사 제2변화는 o(오) 변화(곡용)라고도 한다. o 변화라고 부르는 것은 어간 끝의 -us가 원래 -os여서 어간모음이 o인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er 또한 -os가 변화한 것으로 본다. 독일어는 o-Deklination, 영어로는 o-stem declension이라고도 한다.
filios → filiusdonom → donumpueros → *puers → *puerr → pueragros → *agrs → *agers → ager
소유격 단수가 -ī로 끝나므로 사전에 ī로 표기한다.
amīcus, ī (amīcus, amīcī)
과제
-os/-us가 -er로 쉽게 변화하는 것 설명할 것. Alexandros>Alexander
과제
호격 단수에 따라 유형이 구분됨을 설명할 것.
-us, -ī, m.¶
제2변화하는 남성명사의 기본형태로, 호격 단수가 -e로 끝나는 것에 유의.
sg. | pl. | |
---|---|---|
nom. | amīc+us | amīc+ī |
gen. | amīc+ī | amīc+ōrum |
dat. | amīc+ō | amīc+īs |
acc. | amīc+um | amīc+ōs |
abl. | amīc+ō | amīc+īs |
voc. | amīc+e | amīc+ī |
어간이 -u로 끝나는 경우는 u를 겹쳐쓴다.
sg. | pl. | |
---|---|---|
nom. | equ+um=equus | equ+ī |
gen. | equ+ī | equ+ōrum |
dat. | equ+ō | equ+īs |
acc. | equ+um=equum | equ+ōs |
abl. | equ+ō | equ+īs |
voc. | equ+e | equ+ī |
사전 표제어는 아래와 같은 형태이다.
[*] | u와 i에는 모음의 장단을 표시하지 않은 것. 일부 사전에서는 어미처럼 장단이 자명한 모음에는 장단은 표시하지 않기도 한다. |
|
|
지명¶
-us로 끝나는 남성형 지명도 제2변화를 한다.
sg. | |
---|---|
nom. | Rhēn+us |
gen. | Rhēn+ī |
dat. | Rhēn+ō |
acc. | Rhēn+um |
abl. | Rhēn+ō |
voc. | Rhēn+e |
loc. | Rhēn+ī |
|
[†] | 이탈리아 반도 내의 지명이 유럽의 다른 지역에 사용되기도 한다. |
복수형으로만 쓰이는 지명¶
복수형으로만 쓰이는 Delphī(pl.) 같은 지명도 제2변화를 한다.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이러한 지명은 복수로 쓰면서 단수 취급을 한다.
pl. | |
---|---|
nom. | Delph+ī |
gen. | Delph+ōrum |
dat. | Delph+īs |
acc. | Delph+ōs |
abl. | Delph+īs |
voc. | Delph+ī |
loc. | Delph+īs |
|
주석
복수형으로만 쓰이는 지명은 주로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도시의 이름으로, 복수로 쓰이나 단수로 취급된다.
-ius, -ī, m.¶
filius(아들), fluvius(강) 처럼 주격 단수 어간이 -i로 끝나는 경우 i를 두번 겹쳐서 쓰고 발음도 각각 한다. 호격 단수는 -e가 아닌 -ī로 끝나며, -iī 형태가 아님에 유의.
fīlius, fīliī, m.
단수 | 복수 | |
주격 | fīlius | fīliī |
속격 | fīlī (상고) fīliī (고전) |
fīliōrum |
여격 | fīliō | fīliīs |
대격 | fīlium | fīliōs |
탈격 | fīliō | fīliīs |
호격 | fīlī | fīliī |
-us의 변화와 -ius의 변화가 다른 것은 상고 라틴어에서 -ius와 -ium이 다른 변화를 하는 형태였기 때문으로 본다.
지명¶
복수형으로만 쓰이는 Pompeii(pl.) 같은 지명도 제2변화를 한다.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이러한 지명은 복수로 쓰면서 단수 취급을 한다.
복수 | |
주격 | Pompēiī |
속격 | Pompēiōrum |
여격 | Pompēiīs |
대격 | Pompēiōs |
탈격 | Pompēiīs |
호격 | Pompēiī |
처격 | Pompēiīs |
|
인명¶
아우구스투스 시대 이전의 남성형 인명 역시 소유격 단수에서 -ī를 쓰나, 후대에 -iī도 사용된다.
단수 | |
주격 | Vergilius |
속격 | Vergilī (상고) Vergiliī (고전) |
여격 | Vergilō |
대격 | Vergilum |
탈격 | Vergilō |
호격 | Vergilī |
|
|
-us, -ī, f.¶
예외적으로 humus(f. 대지) 같이 -us로 끝나면서 제2변화를 하는 여성형 명사도 있다.
단수 | 복수 | |
주격 | humus | humī |
속격 | humī | humōrum |
여격 | humō | humīs |
대격 | humum | humōs |
탈격 | humō humu |
humīs |
호격 | hume | humī |
처격 | humī | x |
|
|
지명¶
|
|
-us, -ī, n.¶
드물게 -us로 끝나는 중성명사가 있다. 남성형의 경우와 달리 -ius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단수 | |
주격 | vīrus |
속격 | vīrī |
여격 | vīrō |
대격 | vīrus |
탈격 | vīrō |
호격 | vīrus |
일반적인 중성 명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호격 주격과 목적격, 호격이 같다.
|
|
-er, -(r)ī, m.¶
변화할 때 어간의 e가 생략되는 경우.
단수 | 복수 | |
주격 | liber | librī |
속격 | librī | librōrum |
여격 | librō | librīs |
대격 | librum | librōs |
탈격 | librō | librīs |
호격 | liber (libre) |
librī |
|
|
인명¶
|
-er, -(er)ī, m.¶
puer(m. 소년)은 어간이 변화하지 않고 변화한다. 주격과 호격이 같다.
puer, puerī, m.
단수 | 복수 | |
주격 | puer | puerī |
속격 | puerī | puerōrum |
여격 | puerō | puerīs |
대격 | puerum | puerōs |
탈격 | puerō | puerīs |
호격 | puer (puere) |
puerī |
사전 표제어는 다음과 같다.
|
|
접미사 -fer로 끝나는 명사. 형용사인 경우는 같은 어간으로 제1·2변화 한다.
|
접미사 -ger로 끝나는 명사. 형용사인 경우는 같은 어간으로 제1·2변화 한다.
|
-um, -ī, n.¶
제2변화하는 중성명사는 -um으로 끝난다.
-us로 끝나는 남성명사의 제2변화와 달리 호격 단수는 주격 단수와 같다는 일반 원칙이 적용된다. 또, 단수 주격, 대격, 호격이 같고 복수 주격, 대격, 호격이 같다는 중성명사 변화의 일반 원칙도 지켜진다.
donum(n. 선물)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단수 | 복수 | |
주격 | dōnum | dōna |
속격 | dōnī | dōnōrum |
여격 | dōnō | dōnīs |
대격 | dōnum | dōna |
탈격 | dōnō | dōnīs |
호격 | dōnum | dōna |
어간이 -i로 끝나는 경우 어미의 -i가 겹치면 iī로 겹쳐쓴다. -ius로 끝나는 남성명사의 제2변화와 달리 다른 변화는 없다.
단수 | 복수 | |
주격 | convīvium | convīvia |
속격 | convīviī | convīviōrum |
여격 | convīviō | convīviīs |
대격 | convīvium | convīvia |
탈격 | convīviō | convīviīs |
호격 | convīvium | convīvia |
|
|
예외¶
deus¶
deus(m. 신)는 다양한 변화형을 가지고 있다.
단수 | 복수 | |
주격 | deus | dī diī deī |
속격 | deī | deōrum deum |
여격 | deō | dīs diīs deīs |
대격 | deum | deōs |
탈격 | deō | dīs diīs deīs |
호격 | deus dee |
dī diī deī |
vir¶
vir(m. 남자, 영웅, 남편)는 어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어미만 -ir일 뿐 e가 생략되지 않는 -er의 경우와 동일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vir, virī, m.
단수 | 복수 | |
주격 | vir | virī |
속격 | virī | virōrum |
여격 | virō | virīs |
대격 | virum | virōs |
탈격 | virō | virīs |
호격 | vir (vire) |
virī |
소유격 복수 um¶
-os, -ī, m. f.¶
주격이 -os로 끝나고, 목적격 단수가 -on인 경우로,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주격 단수는 -os, 목적격 복수는 -ōs로 장단은 다르지만 형태가 같다.
|
|
지명¶
이렇게 변화하는 지명은 대부분 여성형이다.
sg. | |
---|---|
nom. | Dēlos |
gen. | Dēl+ī |
dat. | Dēl+ō |
acc. | Dēl+on |
abl. | Dēl+ō |
voc. | Dēl+e |
|
|
인명¶
과제
Sōcrateos, Thēseos, Perseos 변화 확인할 것
-on, -ī, n.¶
주격이 -on으로 끝나고, 목적격 단수가 -on인 경우로,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sg. | ||
---|---|---|
nom. | phaenomen+on | phaenomen+a |
gen. | phaenomen+ī | phaenomen+ōrum |
dat. | phaenomen+ō | phaenomen+īs |
acc. | phaenomen+on | phaenomen+a |
abl. | phaenomen+ō | phaenomen+īs |
voc. | phaenomen+on | phaenomen+a |
주석
-os, -ī, m. f. 형태와 변화 양상이 동일하므로 하나로 묶어서 분류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