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 제3변화(2) 자음변화¶
자음변화는 탈격 단수 어미가 -e이고, 소유격 복수 어미가 -um이다.
변화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서 책마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류한다. 여기서는 변화 형태에 따라 아래의 방법으로 분류하기로 한다.
- n이 나타나는 경우 (leōn, leōnis, m.)
- e가 탈락하는 경우 (pater, patris, m.)
- x가 탈락하고 c, g가 나타나는 경우 (dux, ducis, m. f.)
- s가 탈락하고 t, d가 나타나는 경우 (virtūs, virtūtis, f.)
- 그 외 s가 탈락하는 경우
- t, d가 나타나는 경우 (lac, lactis, n.)
- s가 r로 변하는 경우 (flōs, flōris, m.)
- 어간이 한 가지인 경우 (canis, canis, m. f.)
- 주격이 어간인 경우 (cōnsul, cōnsulis, m.)
- 그 외
과제
장음이 단음으로 바뀌는 경우 설명
n이 나타나는 경우¶
-ō, -ōnis, m. f.¶
leo(m. 사자)의 경우처럼 어간에 -n이 추가되어 변화하는 경우. 원래 어간이 leōn이었던다가 n이 탈락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sg. | pl. | |
---|---|---|
nom. | leō | leōn+ēs |
gen. | leōn+is | leōn+um |
dat. | leōn+ī | leōn+ibus |
acc. | leōn+em | leōn+ēs |
abl. | leōn+e | leōn+ibus |
voc. | leō | leōn+ēs |
[*] | 실제로도 이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léōn에서 유래한 것으로 본다. 이렇게 제3변화 명사의 변화형은 원래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
|
|
그리스어 제3변화 명사에서 유래한 경우
|
|
접미사 -iō(f.)가 붙은 경우
|
|
접미사 -tiō(f.)가 붙은 경우
|
|
인명
|
|
-ō, -inis, m. f.¶
homo(m. 사람)처럼 어간에 -in이 추가되어 변화하는 경우. 다른 어간이 homin이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sg. | pl. | |
---|---|---|
nom. | homō | homin+ēs |
gen. | homin+is | homin+um |
dat. | homin+ī | homin+ibus |
acc. | homin+em | homin+ēs |
abl. | homin+e | homin+ibus |
voc. | homō | homin+ēs |
|
|
추상명사화 접미사 -tūdō(f.)가 붙은 단어
|
|
carō, carnis, f.¶
sanguis, sanguinis, m.¶
sanguis(m. 피)는 sanguen이라는 고형이 있으므로, e가 i로 바뀌어 -inis가 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e가 탈락하는 경우¶
-(t)er, -(t)ris, m. f.¶
어간 끝의 -er에서 -e가 빠지면서 변화하는 경우.
sg. | pl. | |
---|---|---|
nom. | pater | patr+ēs |
gen. | patr+is | patr+um |
dat. | patr+ī | patr+ibus |
acc. | patr+em | patr+ēs |
abl. | patr+e | patr+ibus |
voc. | pater | patr+ēs |
사전 표제어는 다음 형태로 쓴다.
이렇게 변화하는 명사는 많지 않다. 아래 목록에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
|
주석
어간의 -e-가 사라져 음절 수가 줄기 때문에, 이 변화는 제3변화 명사의 주격 단수와 소유격 단수의 음절 수가 같으면(parisyllabica) 소유격 복수가 -ium이라는 일반 원칙의 명확한 예외이다.
그러나 어간이 동일하게 변화하는 i 모음 변화하는 제3변화 명사도 있고, 제2변화 명사도 있으므로, 단어의 수가 적은 이 명사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쉬운 단어인 pater, mater 등을 먼저 암기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e, -is, n.¶
|
지명
|
|
x가 탈락하고 c, g가 나타나는 경우¶
변화할 때 주격 끝의 x가 빠지고 c나 g가 추가되는 경우. 이것은 x가 c+s 또는 g+s가 합쳐진 것이기 때문이다.
-x, -cis, m. f.¶
주격 끝의 x가 빠지고, c가 추가되어 변화하는 경우. x가 c+s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sg. | pl. | |
---|---|---|
nom. | duc+s = dux | duc+ēs |
gen. | duc+is | duc+um |
dat. | duc+ī | duc+ibus |
acc. | duc+em | duc+ēs |
abl. | duc+e | duc+ibus |
voc. | duc+s = dux | duc+ēs |
|
|
‘~하는 여자’의 의미를 가진 접미사 -trīx(f.)가 붙은 경우
|
|
-ex, -icis, m.¶
-ex로 끝나는 경우 e가 i로 바뀌어 변화한다. 장음 ē인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sg. | pl. | |
---|---|---|
nom. | iudec+s = iūdex | iūdic+ēs |
gen. | iūdic+is | iūdic+um |
dat. | iūdic+ī | iūdic+ibus |
acc. | iūdic+em | iūdic+ēs |
abl. | iūdic+e | iūdic+ibus |
voc. | iudec+s = iūdex | iūdic+ēs |
|
|
‘~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접미사 -fex(m.)가 붙은 경우
|
|
-x, -gis, m. f.¶
주격 끝의 x가 빠지고, g가 추가되어 변화하는 경우. x가 g+s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sg. | pl. | |
---|---|---|
nom. | rēg+s = rēx | rēg+ēs |
gen. | rēg+is | rēg+um |
dat. | rēg+ī | rēg+ibus |
acc. | rēg+em | rēg+ēs |
abl. | rēg+e | rēg+ibus |
voc. | rēg+s = rēx | rēg+ēs |
|
|
-ex, -igis, m.¶
-ex로 끝나는 경우 e가 i로 바뀌어 변화한다. 장음 ē인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
s가 탈락하고 t, d가 나타나는 경우¶
-s, -tis, m. f.¶
s가 결합할 때 자음이 겹쳐서 t가 탈락했다가, s가 사라지자 다시 나타나는 경우.
|
명사화 접미사 -tās(f.) 또는 -itās(f.)가 붙은 경우
sg. | pl. | |
---|---|---|
nom. | vēritāt+s = vēritās | vēritāt+ēs |
gen. | vēritāt+is | vēritāt+um |
dat. | vēritāt+ī | vēritāt+ibus |
acc. | vēritāt+em | vēritāt+ēs |
abl. | vēritāt+e | vēritāt+ibus |
voc. | vēritāt+s = vēritās | vēritāt+ēs |
|
|
명사화 접미사 -tūs(f.)가 붙은 경우
sg. | pl. | |
---|---|---|
nom. | virtūt+s=virtūs | virtūt+ēs |
gen. | virtūt+is | virtūt+um |
dat. | virtūt+ī | virtūt+ibus |
acc. | virtūt+em | virtūt+ēs |
abl. | virtūt+e | virtūt+ibus |
voc. | virtūt+s=virtūs | virtūt+ēs |
|
|
-ēs, -etis¶
|
-ēns, -entis¶
|
|
현재분사에서 파생한 명사 일부
|
|
주석
현재분사도 이 형태의 어간을 갖는다. 그러나 현재분사는 탈격 단수가 -ī, 소유격 복수가 -ium, 중성 주격 복수가 -ia인 i 모음 변화를 한다. 단 현재분사가 명사처럼 쓰일 때는 탈격 단수에 -e를 쓰기도 한다.
-es, -itis, m.¶
-es로 끝나는 경우 e가 i로 바뀌어 변화한다. 장음 ē인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
|
-eps, -ipitis, m.¶
머리(caput[†])를 의미하는 접미사 -ceps가 붙은 단어[‡]
sg. | pl. | |
---|---|---|
nom. | praeceps | praecipit+ia |
gen. | praecipit+is | praecipit+um |
dat. | praecipit+ī | praecipit+ibus |
acc. | praeceps | praecipit+ia |
abl. | praecipit+e | praecipit+ibus |
voc. | praeceps | praecipit+ia |
[†] | caput(n. 머리)도 capitis로 변화한다. |
[‡] | 잡는다(capio)는 의미의 -ceps는 -ipis로 변화 |
-s, -dis, m. f.¶
s가 결합할 때 자음이 겹쳐서 d가 탈락했다가, s가 사라지자 다시 나타나는 경우.
sg. | pl. | |
---|---|---|
nom. | pēds>pēs | ped+ēs |
gen. | ped+is | ped+um |
dat. | ped+ī | ped+ibus |
acc. | ped+em | ped+ēs |
abl. | ped+e | ped+ibus |
voc. | pēds>pēs | ped+ēs |
|
|
s가 탈락하는 경우¶
변화할 때 주격 끝의 s가 빠지고 변화하는 경우. 어간 끝이 주로 b, p와 같은 입술소리이다.
-(b)s, -(b)is, f.¶
|
|
주석
단음 e를 쓰는 -ebs로 끝나는 명사가 있다면 -ibis 형태로 변화할 것이나, 사전에 그런 명사는 없다. 단, 제3변화 형용사 중에 caelebs, caelibis가 있다.
-(p)s, -(p)is, m. f.¶
|
|
-eps, -ipis, m.¶
-eps로 끝나는 경우 e가 i로 바뀌어 변화한다. 장음 ē인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잡는다는 의미의 접미사 -ceps(m.)가 붙는 단어[§]
sg. | pl. | |
---|---|---|
nom. | prīncep+s | prīncip+ēs |
gen. | prīncip+is | prīncip+um |
dat. | prīncip+ī | prīncip+ibus |
acc. | prīncip+em | prīncip+ēs |
abl. | prīncip+e | prīncip+ibus |
voc. | prīncep+s | prīncip+ēs |
[§] | 머리라는 의미의 -ceps는 -ipitis로 변화 |
t, d가 나타나는 경우¶
lac, lactis, n.¶
- lac, lactis, n.
cor, cordis, n.¶
- cor, cordis, n. (i 변화로도 사용)
-a, -atis, n.¶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
|
|
s가 r로 변하는 경우¶
주석
모음 사이에 끼인 s가 r로 변화하는 것을 로타키즘(영어 rhotacism)이라고 한다.
-ēs, -eris, f.¶
- Cerēs, Cereris, f. 케레스(풍작의 여신)
-es, -eris, n.¶
- aes, aeris, n.
-is, -eris, m. f.¶
|
|
-us, -eris, n.¶
어간이 -er로 바뀌어 변화하는 경우.
|
|
-ōs, -ōris, m. f.¶
변화할 때 어간의 -ōs
가 -ōr
이 되는 경우.
sg. | pl. | |
---|---|---|
nom. | flōs | flōs+ēs = flōrēs |
gen. | flōs+is = flōris | flōs+um = flōrum |
dat. | flōs+ī = flōrī | flōs+ibus = flōribus |
acc. | flōs+em = flōrem | flōs+ēs = flōrēs |
abl. | flōs+e = flōre | flōs+ibus = flōribus |
voc. | flōs | flōs+ēs = flōrēs |
|
|
-us, -oris, n.¶
어간의 -us
가 -or
로 바뀌어 변화하는 경우.
sg. | pl. | |
---|---|---|
nom. | corpus | corpor+ēs |
gen. | corpor+is | corpor+um |
dat. | corpor+ī | corpor+ibus |
acc. | corpor+em | corpor+ēs |
abl. | corpor+e | corpor+ibus |
voc. | corpus | corpor+ēs |
|
|
주석
이렇게 변화하는 아래 단어들은 -os
형태의 고형을 가지고 있다. 즉 -os
가 -or
로 변화하는 로타키즘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korpos(이탈리아 조어) > corpus*pektos(이탈리아 조어) > pectus*tempos(인도유럽조어) > tempus
-ūs, -ūris, n.¶
어간의 -ūs
가 -ūr
이 되는 경우.
sg. | pl. | |
---|---|---|
nom. | crūs | crūs+a = crūra |
gen. | crūs+is = crūris | crūs+um = crūrum |
dat. | crūs+ī = crūrī | crūs+ibus = crūribus |
acc. | crūs | crūs+a = crūra |
abl. | crūs+e = crūre | crūs+ibus = crūribus |
voc. | crūs | crūs+a = crūra |
|
|
어간이 한 가지인 경우¶
-is, -is, m. f.¶
|
|
주의
동음절은 i 변화라는 원칙의 예외이다.(faux parisyllabiques)
주격이 어간인 경우¶
-l, -lis, m.¶
주격 단수 뒤에 어간 변화 없이 -is를 붙이기만 하는 경우이다.
sg. | pl. | |
---|---|---|
nom. | cōnsul | cōnsul+ēs |
gen. | cōnsul+is | cōnsul+um |
dat. | cōnsul+ī | cōnsul+ibus |
acc. | cōnsul | cōnsul+ēs |
abl. | cōnsul+e | cōnsul+ibus |
voc. | cōnsul | cōnsul+ēs |
|
|
-n, -nis, f.¶
|
|
인명
|
-en, -inis, m.¶
연주자를 뜻하는 접미사 -cen(m.)이 붙은 단어
|
|
-en, -inis, n.¶
주격에서는 -en이었던 어미가 -in으로 바뀌어 변화하는 경우.
주격 복수가 -a로 변화하고, 목적격이 주격과 같게 변화하는 점은 중성명사 제2변화와 동일하다.
단수 | 복수 | |
주격 | flūmen | flūmin+a |
속격 | flūmin+is | flūmin+um |
여격 | flumin+ī | flūmin+ibus |
대격 | flūmen | flūmin+a |
탈격 | flūmin+e | flūmin+ibus |
호격 | flūmen | flūmin+a |
명사화 접미사 -men(n.)으로 끝나는 단어는 모두 이렇게 변화한다.
|
|
-r, -ris, m. f.¶
|
|
인명
|
-r, -ris, n.¶
|
|
-or, -ōris, m. f.¶
-or로 끝나는 주격이 바뀌지 않고 그대로 어간으로 사용되는 경우. 어간의 마지막 모음 단음 o가 장음 ō로 바뀌는 것이 특징이다.[¶]
sg. | pl. | |
---|---|---|
nom. | amor | amōr+ēs |
gen. | amōr+is | amōr+um |
dat. | amōr+ī | amōr+ibus |
acc. | amōr+em | amōr+ēs |
abl. | amōr+e | amōr+ibus |
voc. | amor | amōr+ēs |
[¶] | o가 장음이 되지 않는 유일한 예외로 arbor, arboris, f.가 있다. |
|
|
동사에 추상명사화 접미사 -or(m.)가 붙은 경우
|
|
행위자를 나타내는 접미사 -tor(m.) 또는 -sor(m.)가 붙은 단어
|
|
주석
형태상 주격을 어간으로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로 분류하였지만, 아래 단어들은 -ōs로 끝나는 고형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래의 어간에서 s가 r로 바뀌는 로타키즘이 일어난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colōs(상고 라틴어) > colorhonōs(상고 라틴어) > honorlabōs(상고 라틴어) > laborodōs(상고 라틴어) > odor
명사화 접미사 -or 역시 고형이 -ōs이다.
arbor, arboris, f.¶
arbor(f. 나무)는 -or로 끝나는 주격이 그대로 어간으로 사용될 때, o가 장음이 되지 않는 유일한 예외이다.
sg. | pl. | |
---|---|---|
nom. | arbor | arbor+ēs |
gen. | arbor+is | arbor+um |
dat. | arbor+ī | arbor+ibus |
acc. | arbor+em | arbor+ēs |
abl. | arbor+e | arbor+ibus |
voc. | arbor | arbor+ēs |
cf. arbōs, arbōris, f. 형태도 있다.
예외¶
그리스어¶
aer, aether, heros, haeresis
auceps, aucupis, m.¶
주격이 -eps로 끝나고 -upis로 변화하는 경우.
bōs, bovis, m. f.¶
bōs, bovis, m. f. 소
caput, capitis, n.¶
주격이 -ut로 끝나고 -itis로 변화하는 경우.
caput와 같은 의미의 접미사 -ceps를 가진 단어도 -ipitis로 변화한다.[#] 자세한 내용은 -eps, -ipitis 항목에서 다룬다.
[#] | 잡는다(capio)는 의미의 접미사 -ceps는 -ipis로 변화 |
grūs, gruis, m. f.¶
hiems, hiemis, f¶
어간이 -m으로 끝나고 -is를 붙이는 경우로, hiems(f. 겨울)만 이렇게 변화한다.
sg. | pl. | |
---|---|---|
nom. | hiem+s | hiem+ēs |
gen. | hiem+is | hiem+um |
dat. | hiem+ī | hiem+ibus |
acc. | hiem+em | hiem+ēs |
abl. | hiem+e | hiem+ibus |
voc. | hiem+s | hiem+ēs |
iecur, iecoris, n.¶
iecur, iecoris/iecinoris, n. 간
iter, itineris, n.¶
*iter-os-is>*iten-os-is>iteiner-is
Iuppiter, Iovis, m.¶
senex, senis, m. f.¶
동음절은 i 변화라는 원칙의 예외이다.
sūs, suis, m. f.¶
sūs, suis, m. f. 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