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법 현재¶
명령법은 라틴어 동사의 서법 순서 상 직설법, 접속법 다음이지만, 명령법 현재형은 변화가 단순하기 때문에 라틴어 교재의 앞쪽에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미완료형 어간을 그대로 쓰면 명령법 현재형 2인칭 단수가 된다. 2인칭 복수는 어미 -te를 붙인다. 현재형에서 2인칭 외에 다른 인칭은 없으므로 단수, 복수로 부르기도 한다.
단, 제3변화는 단수에서는 단음 ĕ를, 복수에서는 단음 ĭ를 쓴다.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제1변화 | 제2변화 | 제3변화 | 제4변화 | ||
| 어간 모음 | ā | ē | 자음(ĕ) | 단음 ĭ | 단음 ī | 
| 2s | -ā | -ē | -ĕ | -ī | |
| 2p | -āte | -ēte | -ĭte | -īte | 
명령법 현재형의 예외¶
dīcō(말하다), dūcō, faciō(하다), ferō 등 제3변화 동사 일부는 2인칭 단수 명령형에 e를 쓰지 않는다. 2인칭 복수는 규칙 변화한다.
dīco, dīcere, dīxī, dictum
| 능동태 | 수동태 | |
| 2s | dīc dice (상고) | dīcere | 
| 2p | dīcete | dīciminī | 
dūcō, dūcere, dūxī, ductum
| 능동태 | 수동태 | |
| 2s | dūc dūce | dūcite | 
| 2p | dūcere | dūciminī | 
ferō, ferre, tulī, lātum
| 능동태 | 수동태 | |
| 2s | fer | ferre | 
| 2p | ferte | feriminī | 
faciō, facere, fēcī, factum
| 능동태 | 수동태 | |
| 2s | fac face | fī | 
| 2p | facite | fī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