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사

동사의 부정사형은 현재, 과거, 미래 시제와 능동, 수동태가 각각 있어서 모두 6가지이며, 중성 명사로 취급된다.

  능동태 수동태
현재 미완료형(현재형) 어간+re 미완료형(현재형) 어간+rī/ī[*]
과거 완료형(과거형) 어간+isse 과거분사␣esse
미래 미래분사␣esse 목적분사␣īrī
[*]제3변화 동사에서는 를 사용.

과제

일부는 변화하고 일부는 변화하지 않음을 명확하게 서술할 것

esse는 sum의 능동태 현재 부정사, īrī는 eō의 수동태 현재 부정사로, 띄어쓰기 하며 변화하지 않는다.

과거분사와 미래분사는 성, 수, 격 일치를 하지만, 목적분사는 대격만 사용하므로 변화하지 않는다.

주석

수동태 미래 부정사에는 eō의 수동태 현재 부정사인 īrī를 쓰지만, 수동태 과거 부정사에는 능동태 미래 부정사와 동일하게 sum의 능동태 현재 부정사인 esse를 사용한다.

이것은 sum에 수동태 부정사 형태가 없고, 과거 분사는 수동태이지만 능동의 의미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거 같다.

주석

과거분사+sum, 미래분사+sum, 목적분사+eō 형태는 분사에서 형식을 빌린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분사에는 부정사에 있는 능동태 과거와 수동태 현재가 없다.

분사의 시제
  능동태 수동태
현재 O X
과거 X O
미래 O X[†]
[†]수동태 미래 분사 제외

제1변화 동사인 amō(사랑하다)를 예로 들면 아래와 같이 변화한다.

amō, amāre, amāvī, amātum
  능동태 수동태
현재 amā+re amā+
과거 amāv+isse amāt+us/a/um esse
미래 amāt+ūrus/ūra/ūrum esse amāt+um īrī

과제

사전 표제어와 어간의 관계 서술할 것

부정사가 목적격으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형용사 제1·2변화하는 수동태 과거형과 능동태 미래형을 아예 목적격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즉 기본형인 주격 단수 -us, -a, -um 형태가 아닌 목적격 단수 -um, -am, -um 형태로 적기도 한다.

또, 일반적인 변화표에서 복수형을 따로 취급하기 때문에 목적격 복수형인 -ōs, -ās, -a이나 주격 복수형인 -ī, -ae, -a를 함께 표기하기도 한다.

  능동태 수동태
현재 amā+re amā+
과거
(복수)
amāv+isse
amāt+um/am/um esse
(amāt+ōs/ās/a esse)
미래
(복수)
amāt+ūrum/ūram/ūrum esse
(amāt+ūrōs/ūrās/ūra esse)
amāt+um īrī

능동태 현재 부정사

능동태 현재형 부정사는 미완료형 어간에 어미 -re를 붙여서 만든다.

미완료형 어간은 끝이 모음 ā, ē, ī 중 하나로 끝나므로 부정사의 현재형 어미는 -āre, -ēre, -īre가 된다. 이 모음을어간 모음 또는 연결모음이라고도 한다.

동사 변화의 분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해 어간모음을 붙인 -āre/-ēre/-ĕre/-īre를 어미로 취급하기도 한다.

모음 이외에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도 있다. 이 경우는 중립모음(schwa) 단음 e를 삽입하여 -ĕre가 어미가 된다. 다른 동사의 변화에서도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는 e를 추가하는 경우가 많다.

동사의 어간모음을 그대로 따르나 제3변화에서는 단음 e를 사용해서 -ĕre가 되고, 제2변화에서는 장음 ē를 사용하는 -ēre가 됨에 유의.

  I II III-o III-io IV
어간모음 ā ē [‡] i ī
  amā+re tenē+re dūc+re > ducere cap+re > capere audī+re
[‡]어간모음이 없는 경우 보통 e가 삽입된다.

과제

슈와(schwa)로 설명 가능한지 알아볼 것

미완료형 어간의 모음 부정사 현재형의 어미
ā -āre am+āre
ē -ēre ten+ēre
ī -īre aud+īre
자음 -ĕre dūc+ere, cap+ere
불규칙 다양 esse, velle, īre, fierī, ferre 등

수동태 현재 부정사

수동태 현재형 부정사는 미완료형 어간에 어미 -ri를 붙여서 만든다. 단, 제3변화에서는 -ī를 사용한다.

  I II III-o III-io IV
어간모음 ā ē i ī
  amā+rī tenē+rī dūc+ī cap+ī audī+rī

능동태 과거 부정사

능동태 과거형 부정사는 완료형 어간에 -isse를 붙여서 만든다.

  I II III-o III-io IV
어간모음 ā ē i ī
  amāv+isse tenu+isse dūx+isse cēp+isse audīv+isse

완료형 어간은 미완료형 어간에서 규칙적으로 변화하기도 하나, 불규칙적인 경우도 많으므로 사전을 통해 확인한다. 자세한 내용은 동사의 어간 항목 참조.

수동태 과거 부정사

수동태 과거형 부정사는 분사형 어간에 제1·2변화 형용사 어미를 붙인 후 esse를 더해서 만든다. esse는 sum의 수동 현재 부정사로 변화하지 않으며, 띄어쓰기 한다.

분사형 어간에 제1·2변화 형용사 어미를 붙인 것은 수동태 과거 분사와 형태가 동일하다. 즉 과거 분사에 esse를 붙인 형태와 같다.

  I II III-o III-io IV
어간모음 ā ē i ī
  amāt+us/a/um␣esse tent+us/a/um␣esse duct+us/a/um␣esse capt+us/a/um␣esse audīt+us/a/um␣esse

그런데, 부정사가 목적격으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수동 과거 부정사를 표기할 때, 형용사 제1·2변화의 기본형인 -us, -a, -am 형태의 주격 단수가 아니라, -um, -am, -um 형태의 목적격 단수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목적격 복수형인 -ōs, -ās, -a나 주격 복수형인 -ī, -ae, -a를 함께 표기하기도 한다.

능동태 미래 부정사

능동태 미래 부정사는 분사형 어간에 -ūr-와 제1·2변화 형용사 어미를 붙인 후 esse를 더해서 만든다. 형용사 제1·2변화와 같이 격변화 하고, esse는 sum의 현재 부정사로, 변화하지 않으며 띄어쓰기 한다.

  I II III-o III-io IV
어간모음 ā ē i ī
  amāt+ūrus/ūra/ūrum␣esse tent+ūrus/ūra/ūrum␣esse duct+ūrus/ūra/ūrum␣esse capt+ūrus/ūra/ūrum␣esse audīt+ūrus/ūra/ūrum␣esse

분사형 어간에 제1·2변화 형용사 어미를 붙인 것은 능동태 미래 분사와 형태가 동일하다. 즉 미래 분사에 esse를 붙인 형태와 같다.

예) futurus(능동태 미래 분사)/futurus esse(능동태 미래 부정사)

그런데, 부정사가 목적격으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능동태 미래 부정사를 표기할 때, 형용사 제1·2변화의 기본형인 -us, -a, -am 형태의 주격 단수가 아니라, -um, -am, -um 형태의 목적격 단수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목적격 복수형인 -ōs, -ās, -a나 주격 복수형인 -ī, -ae, -a를 함께 표기하기도 한다.

주석

학자들은 수동 미래 부정사처럼 능동 미래 부정사 역시 -tūrum esse 형태 한가지만 있었다가. 격변화 하게 된 것으로 추측한다. [성염]

주석

중세 라틴어에서는 현재 부정사 esse가 아닌 sum의 미래 부정사 fore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수동태 미래 부정사

수동태 미래형 부정사는 목적 분사 대격에 īrī를 붙인다. 분사형 어간을 쓰는 다른 변화형과 동일한 형태지만, 목적 분사(supinum)이므로 변화하지 않는다. supinum이라는 말에 활용하지 않는다는 뜻이 있다.

īrī는 eō의 능동 현재 부정사형으로, 변화하지 않으며 띄어쓰기 한다.

  I II III-o III-io IV
어간모음 ā ē i ī
  amāt+um␣īrī tent+um␣īrī duct+um␣īrī capt+um␣īrī audīt+um␣īrī

불규칙 변화

esse, velle, īre, fierī, fer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