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동사의 현재형은 미완료형 어간+능동태 어미로 만든다.

  단수 복수
1인칭 -mus
2인칭 -s -tis
3인칭 -t -nt

주석

과거, 과거 완료(대과거), 제3, 제4변화 동사 미래형, 접속법에서는 1인칭 단수 능동태 어미가 -m이다.

동사 현재형은 어간모음에 따라서 제1~4변화까지 다른 양상으로 변화하며, 제3변화는 자음변화일 때와 단음 i 변화일 때가 다르게 변화한다.

  제1변화 제2변화 제3변화 제3변화 제4변화
어간모음 ā ē ∅(자음) i(단음) ī(장음)
1s ō e+ō ō i+ō i+ō
2s ā+s ē+s is i+s ī+s
3s a+t e+t it i+t i+t
1p ā+mus ē+mus imus i+mus ī+mus
2p ā+tis ē+tis itis i+tis ī+tis
3p a+nt e+nt unt i+unt i+unt
  • 1, 2인칭은 장음이지만 3인칭은 단음으로 표기된다.
  • 자음변화의 3인칭 복수는 -unt로 i가 없고, 단음 i 변화와 장음 i 변화의 3인칭 복수는 -iunt로 동일하다.[1]
  • 제1변화의 1인칭 단수 어미 -ō는 ā+ō형태였다가 축약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고, 제2, 4변화 1인칭 단수 어미는 장음 둘이 나란히 와서 장음 ē가 단음 ĕ로, 장음 ī가 단음ĭ로 각각 바뀐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1]3인칭에서는 장음이 쓰이지 않기 때문에 장음 ī가 단음 ĭ로 바뀐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주석

현재형 어미는 능동태 어미로 다른 시제에서도 사용된다.

제1변화 동사의 현재형

어간 모음이 ā인 제1변화 동사는 아래와 같은 현재형 어미를 갖는다.

  단수 복수
1인칭 -āmus
2인칭 -ās -ātis
3인칭 -at -ant

사전에서 부정사의 어미가 -āre이면 어간 모음이 ā인 제1변화 동사임을 알수 있다.

amo(사랑하다)를 예로 들면 다음 표와 같다.[2] 미완료형 어간에 현재형 어미를 붙여서 변화한다.

amō, amāre, amāvī, amātum

  단수 복수
1인칭 amā+ō = amō amā+mus = amāmus
2인칭 amā+s = amās amā+tis = amātis
3인칭 amā+t = amat amā+nt = amant

1인칭 단수인 amō는 monē+ō에서 ā와 ō가 겹쳐서 ā가 축약된 것으로 생각할수 있다. 1, 2인칭에서는 장음, 3인칭에서는 단음인 것에 유의.

제1변화를 하는 동사로는 adoro(기도하다), cogito(생각하다), erro(헤매다), habito(거주하다), laudo(칭찬하다, 칭송하다), narro(이야기하다), orno(장식하다), paro(준비하다), porto(실어 나르다), servo(보관하다), specto(바라보다), voco(부르다) 등이 있다.

[2]laudo와 amo를 제1변화의 예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laudo는 찬송가에서 많이 쓰이기 때문이고, amo는 학습자의 흥미를 위해서인 거 같다.

제2변화 동사의 현재형

어간 모음이 ē인 제2변화 동사는 아래와 같은 현재형 어미를 갖는다.

  단수 복수
1인칭 -eō -ēmus
2인칭 -ēs -ētis
3인칭 -et -ent

사전에서 부정사의 어미가 -ēre이면 어간 모음이 ē인 제2변화 동사임을 알수 있다. 제3변화 동사의 부정사 어미도 -ere로 같은 e지만, 단음 ĕ로 다르다. 모음의 장단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변화 동사는 eo로 끝나고, 제3변화 동사는 자음+o 또는 io로 끝나는 것으로 구분한다.

teneo(잡다, 유지하다)를 예로 들면 다음 표와 같다. 미완료형 어간에 현재형 어미를 붙여서 변화한다.

teneō, tenēre, tenuī, tentum

  단수 복수
1인칭 tenē+ō = ten tenē+mus = tenēmus
2인칭 tenē+s = tenēs tenē+tis = tenētis
3인칭 tenē+t = tenet tenē+nt = tenent

1, 2인칭에서는 장음을, 3인칭에서는 단음을 쓰는 것에 유의. 1인칭 단수 어미 -eō는 장음과 장음이 만나서 한쪽이 단음이 된 것으로 생각할수 있다.

제2변화를 하는 동사로는 debeo(해야 하다), doceo(가르치다), habeo(가지다), iubeo(명하다), moneo(권고하다, 훈계하다), moveo(움직이다), respondeo(대답하다), salveo(구하다), terreo(놀래키다), timeo(두려워하다), valeo(강하다), video(보다) 등이 있다.

제3변화 동사의 현재형

제3변화 동사는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와 단음 ĭ로 끝나는 두 종류가 있다.

이 두 유형은 어간 모음으로 단음 ĭ를 사용하는 동일한 현재형 어미를 갖지만, 1인칭 단수와 3인칭 복수는 각각 -ō와 -iō, -unt와 -iunt로 다르다. 특히 동사의 기본형인 1인칭 단수 현재형의 어미를 따서 o형과 io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어미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제3변화 동사  
어간 모음 자음(ĕ) 단음 ĭ
별칭

제3변화 1식

제3변화 o형

제3변화 2식

제3변화 io형

1s -iō
2s -is -is
3s -it -it
1p -imus -imus
2p -itis -itis
3p -unt -iunt

제3변화 동사는 사전에서 부정사의 어미가 -ere인 것으로 알수 있다. 제2변화 동사도 -ēre로 e인 것은 같으나 장음 ē인 것이 다르다. 그리고 현재형 어미를 보고 -o형인지 -io형인지 구분한다. 모음의 장단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변화 동사는 -eo로 끝나는 것으로 구분한다.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제3변화 o형인 duco(이끌다)와 어간이 단음 ĭ로 끝나는 제3변화 io형인 capio(잡다)를 예로 들면 아래 표와 같다. 미완료형(또는 현재형) 어간+현재형 어미로 만든다.

dūco, dūcere, dūxī, ductum

capiō, capere, cēpī, captum

  dūcō capiō
1s dūc(e)+ō = dūcō cap(i)+ō = cap
2s dūc(e)+is = dūcis cap(i)+s = capis
3s dūc(e)+it = dūcit cap(i)+t = capit
1p dūc(e)+imus = dūcimus capi(i)+mus = capimus
2p dūc(e)+itis = dūcitis cap(i)+tis = capitis
3p dūc(e)+unt = dūcunt cap(i)+unt = capiunt

다른 변화들과 달리 1인칭 단수 어미를 제외하고는 장음이 쓰이지 않는다. 제4변화에서는 형태는 동일하지만 1, 2인칭에서 장음이 사용된다.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o형의 경우 어간 끝에 중립모음(schwa)으로 단음 ĕ가 붙어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다른 시제의 변화에서 제2변화와 마찬가지로 e가 붙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이렇게 제3변화 명사는 시제에 따라서 제2변화와 같게 변화거나 제4변화와 같게 변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은 제3변화 명사와 마찬가지로 고어의 특성을 잘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학자들은 생각한다.

제3변화 동사중 기본형이 o로 끝나는 동사는 ago(행하다), cedo(가다), claudo(닫다), cognosco(알다), constituo(설치하다), defendo(막다), dico(말하다), duco(이끌다), ēdō(주다), lego(모으다), mitto(보내다), pello(내보내다), rego(다스리다), scribo(쓰다), tego(덮다) 등이 있다.

제3변화 동사 중 기본형이 -io로 끝나는 동사는 capio, decutio(떨어뜨리다), facio(만들다), fugio(도망치다), iacio(던지다), incipio(시작하다), pario(낳다), rapio(납치하다), sapio(알다, 생각하다) 등이 있다. accipio 등 capio의 파생어는 제3변화를 한다.

제4변화 동사의 현재형

어간 모음이 장음 ī인 제4변화 동사는 아래와 같은 현재형 어미를 갖는다. 사전에서 부정사의 어미가 -īre면 어간 모음이 장음 ī인 제4변화 동사임을 알수 있다.

  단수 복수
1인칭 -iō -īmus
2인칭 -īs -ītis
3인칭 -it -iunt

단음 ĭ를 사용하는 제3변화와 매우 유사한데, 제4변화는 1, 2인칭에서 장음 ī를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단음을 사용하는 3인칭에서는 제3변화 io형과 어미가 동일하다.

audio(듣다)를 예로 들면 다음 표와 같다. 미완료형(또는 현재형) 어간+현재형 어미로 만든다.

audiō, audīre, audīvī, audītum

  단수 복수
1인칭 audī+ō = aud audī+mus = audīmus
2인칭 audī+s = audīs audī+tis = audītis
3인칭 audī+t = audit audī+unt = audiunt

1, 2인칭에서는 장음, 3인칭에서는 단음인 것에 유의. 1인칭 단수인 audiō는 audī+ō에서 장음 ī와 장음 ō가 겹쳐서 장음 ī가 단음 ĭ가 된 것으로 생각할수 있다.

제4변화를 하는 동사로는 aperio(열다), dormio(자다), finio(끝내다), haurio(퍼내다), invenio(찾다, 발견하다), salio(춤추다), scio(알다), sentio(느끼다), servio(돕다), venio(가다) 등이 있다. convenio, intervenio, invenio 등 venio의 파생어, nescio 등 scio의 파생어는 제4변화를 한다.